아기를 출산하고 나서 산후조리를 하게 되는데 산후조리비가 진짜 많이 나오지만 산모들에게는 산후조리 기간이 정말 중요합니다. 이번에 서울시에서 산후조리비를 지원해 준다는 좋은 소식이 있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출산 후 산후조리원에 지내게 되면 사실 금액이 100만 원 이상대는 넘어가다 보니 200~300만 원 정도로 책정이 되는데요. 출산한 산모들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금이 바로 산후조리비가 아니었나 싶어요.
지원금은 서울시는 서울에 거주하는 모든 산모에게 출산 후 산후조리비 지원금을 100만원을 지원하게 되는데요. 2023년 9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됩니다.
고령 산모인 경우는 1인당 최대 100만 원의 검사비까지 지원해요. 아무래도 출산율이 점점 줄어들면서 조금 더 구체적이면서 현실적으로 임산부를 위한 지원금 정책을 내놓은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어요.
대부분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신 출산 혜택을 살펴보면 소득기준이 종종 있는 경우도 있는데 산후조리비는 소득기준과 상관없이 출산한 가정이라면 1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됐어요.
◆ 산후조리비 신청기간
지원금 신청기간이 정해져있어서 꼭 챙기셔야 합니다. 출산 이후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되기 때문에 잊지 말고 꼭 체크해 뒀다 산후조리비 지원금 지원받으시길 바랍니다.
▶ 신청기간: 출산 이후 60일 이내
◆ 산후조리비 신청대상
산후조리비 신청대상은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이다 보니 신청일을 기준으로 서울 거주 이력 6개월 이상이면 가능하답니다.
◆ 산후조리비 사용
산후조리비 지원금이라 산후조리원에서만 사용해야 되는 거 아닐까하고 생각하는데요. 의약품 구매나 산모 도우미 서비스에도 사용이 가능해요.
▶ 쌍둥이는 200만 원
▶ 세쌍둥이의 경우는 300만 원
이렇게 자녀 수에 따라게 산후조리비 지원금도 늘어난답니다.
임산부 혜택은 외에도 서울시에서는 임산부를 위해 교통비도 지원하고 있다는 거 아시죠.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70만원 지원 대상 신청방법
계속해서 복지가 좋아지고 있어 흐뭇한 가운데, 서울시에서 임산부 분들을 위해 교통비를 70만원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여러 가지 정부 지원금이 있기는 하나 이를 알지 못하고 놓치는 분들이
good-luck81.com
2023 기저귀바우처조건 금액 지원기간
예전에 비해 정부에서 출산률을 높이지 위해 여러가지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중 2023년 출산지원 정책 중에 하나인 기저귀바우처에 대해 소개하고 지원 금액과 잔액 조회하는 법 사용처
good-luck81.com
'육아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카페인 회 오징어회 먹어도 될까 (0) | 2023.06.06 |
---|---|
임신초기 태아목투명대검사 시기 (0) | 2023.06.01 |
보건소 산전검사 비용 시기 항목 (0) | 2023.06.01 |
아기 독감 A형 증상 B형 독감증상 차이 (0) | 2023.06.01 |
순우리말 여자 남자 신생아 이름 (0) | 2023.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