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삼일절인 토요일인 3월 1일에 해당하여 대체공휴일이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3월 3일 월요일이 대체휴일로 지정되어 3일 연휴를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2025년 삼일절의미와 대체휴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025년 삼일절 대체휴일
2025년 3월 1일 삼일절은 토요일입니다.
대체공휴일 제도에 따라 3월 3일 월요일이 대체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2월 28일 금요일부터 3월 3일 월요일까지 총 4일간의 연휴가 형성됩니다.
◆ 2025년 삼일절 의미와 역사
삼일절 운동은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평화 독립운동으로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하여 우리나라의 독립을 선언한 평화 시위입니다.
우리나라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수많은 독립운동가분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며 역사와 의미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일병합조약에 도장이 찍힌 지 일주일이 지난 1910년 8월 29일, 대한 제국은 일본제국에게 강제합병 당한 후 일본의 무단 통치 아래서 고통을 겪고 있었습니다.
학교 교사들이 제복을 입고 칼을 차고 수업을 했으며 경찰보다 일본 육군 헌병이 훨씬 많아 대한 제국의 집회와 단체 운동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감시하고 있었죠. 게다가 식량까지 수탈해 가면서 사람들의 생활고는 더 악화되었습니다.
1918년 한반도에서는 가을에 스페인 독감(무오년 독감)이 유행하기 시작했는데 조선총독부가 검역을 부실하게 해서 당시 조선 인구의 절반에 가까운 742만 명이 감염되고 14만 명이 사망했습니다.
자신들의 무능으로 많은 조선인들이 죽어나갔지만, 이를 우리나라의 생활습관 때문이라며 사람들에게 떠넘겨 반일 감정을 더욱 키웠습니다. 한편 1918년 11월 11일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라는 민족 자결주의를 제안했고 이는 대한 제국을 포함한 식민지 상태의 여러 나라들에게 독립의 희망을 불어넣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일본으로부터 독립하고하 하는 열망이 커질 무렵, 1919년 1월에 고종황제가 사망하게 됩니다.
평소 건강했던 고종이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고종이 일본에 의해 독살된 것 아니냐는 소문이 돌게 되었고 우리 민족의 반일 감정은 한 층 더 커졌습니다.
같은 해 2월 8일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을 우리나라에도 적용시키기 위해 일본에 있는 조선 유학생들은 2.8 독립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일본 땅에서 용감하게 독립 선언문을 낭독한 조선 학생들에게 감명받은 민족대표 33인은 한국에서도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기로 결심했습니다.
◆ 민족대표 33인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거사를 진행하기로 했었지만 3월 3일에 있는 고종 장례식에 참여하기 위한 전국의 사람들이 서울로 모여든 상태라 자칫 폭력 사태가 일어날 수 있음을 우려해서 태화관이라는 식당으로 장소를 옮겨 오후 2시에 독립선언문을 낭독했습니다.
한편 탑골공원에 모여있던 학생들은 기다리던 민족대표들이 오지 않자 한 학생(경신학교 학생 정재용)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 만세 운동을 시작했습니다.
만세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모인 인파에 고종 장례식을 보기 위해 상경한 사람들까지 더해져 순식간에 수십만 명의 인파가 모이며 시위의 규모가 커졌습니다. 이때 일어난 3.1 운동은 이후 전국적으로 퍼지게 되었고 일본은 이를 강압적으로 저지하기 위해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을 외치던 조선인들을 칼과 총을 갖고 마구잡이로 학살했습니다.
◆ 3.1 운동
▶ 시위횟수: 1,542건
▶ 누적시위참가자: 2,023,089명
▶ 체포자: 46,948명
▶ 부상자: 15,961명
▶ 사망자: 7,509명
3.1 운동은 200만 명 가까이 참여한 규모가 큰 평화 시위였기 때문에 해외에서도 이를 다루는 기사가 많이 나왔었습니다.
▶ 1919.3.15 뉴욕타임스 기사: "한국인들이 독립을 선언하다 Koreans declare for Independence)"
그리고 다른 나라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끼치기도 했는데요, 대표적으로 인도 간디 비폭력 저항운동과 중국 5.4 운동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맞바꿔가며 평화롭게 시위에 참여하며 자유를 이뤄낸 3.1 운동. 그때를 생각하고 자유를 위해 싸우신 독립운동가분들을 기억하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대체공휴일 제도의 의미
대체공휴일 제도는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경우 평일로 휴일을 이전하는 정책입니다. 이는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 2025년 주요 공휴일 일정
2025년의 다른 주요 공휴일 일정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1월 1일(수): 신정
▶ 1월 28일~30일(화~목): 설날 연휴
▶ 5월 5일(월: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 5월 6일(화): 대체공휴일
▶ 6월 6일(금): 현충일
▶ 8월 15일(금): 광복절
▶ 10월 3일(금): 개천절
▶ 10월 9일(목): 한글날
◆ 함께 보면 좋은글
3.1절 삼일절 유래 게양하는방법
짧았던 2월이 중순이 지났고, 조금 있으면 3월 달을 맞이하게 됩니다. 3월의 첫날인 3.1절. 아이들과 함께 있다보면 삼일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줄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
good-luck81.com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식 부조금 친구 직장동료 조의금 액수 금액 정리 (0) | 2025.02.10 |
---|---|
2025년 2 3월 손 없는 날 뜻 이사 하기 좋은날 (0) | 2025.02.10 |
소상공인 택배비 30만원 지원 대상 정리 (0) | 2025.02.02 |
스터디 플래너 장점 활용방법 정리 (0) | 2025.02.01 |
명절 음식 칼로리 정리 (0) | 2025.01.30 |
댓글